Skip to Main Content

고고미술사학과 강의도서: 학부

학부 강의도서

043.042    고고학개론
024.008    문명의 기원
L0547.000200    인류문화의 기원
043.044    한국미술사입문
043.045    동양미술사입문
043.046    서양미술사입문
042.015    동양의 미술과 문명
100.158    고고학연구의 기초
116.204    고고학사
116.206A    인골고고학
116.222    문화유산관리와 박물관
116.303    고고학실습
116.313    인류문화와 환경
116.316    현대고고학특강
M1264.000700    고고학과 자료분석
116.422A    동아시아의 선사시대
116.430A    고고학방법론
116.559A    고고학이론사
M1264.000100    생계경제고고학
M1264.000200    고고학과 사회복합화
M1264.000800    한국고고학1
 구석기·신석기·청동기시대Ⅰ
M1264.000400    한국고고학2
 청동기Ⅱ, 초기철기, 원삼국시대
M1264.000500    한국고고학3
 삼국시대
M1264.000600    한국고고학4
 통일신라·고려·조선시대
M2169.004600    지역고고학특강
100.159    한국의 미술문화
100.160    미술사와 시각문화
116.215A    중국의 미술
116.216B    일본미술사
116.217B    인도의 미술
116.218    서양고대 및 중세미술
116.219    르네상스와 바로크미술
M1265.000600    르네상스 미술
116.317    박물관학입문
116.322    동양의 도자
116.323    한국의 도자
116.324    미술사실습
M1265.000400    유럽의 17, 18세기 미술
116.405A    한국의 회화
116.406A    중국의 회화
116.424A    한국의 불교미술
116.425A    불교미술 : 개념과 지역적 전개
116.427A    미술사연구이론
116.433    한국의 근현대미술
116.434    19세기 서양미술
116.435    현대미술과 시각문화
116.629    한국회회사연구
M1263.000100    일본의 회화
M1265.000100    일본의 미술
M1265.000200    서양의 19세기 미술

100.158 고고학연구의 기초

이 과목은 <고고학의 세계>에 이어, 전공으로서 고고학을 고려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고고학 연구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보다 심도깊게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거의 사회와 문화를 복원, 이해하기 위해 고고학에서 전통적으로 시도해온 방법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인류학, 경제학, 지리학, 역사학, 지질학, 생물학, 유전학, 금속학 등 다양한 분야와의 학제적 연구를 시도하고 있는 현대고고학의 다양한 방법론들에 대한 고찰을 시도할 것이다.

043.042 고고학개론

고고학은 인류가 남긴 유물과 유적을 비롯한 활동의 흔적을 자료로 하여 과거의 문화와 사회를 체계적으로 복원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 과목에서는 고고학이란 학문이 형성된 과정과 추구하는 연구 목적, 그리고 연구대상과 방법론 등을 구체적인 사례들과 엮어서 살펴보고, 나아가 실제 고고학 연구가 이루어지는 발굴현장과 실험실을 체험해 봄으로써, 인간의 과거를 연구하는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자 한다.

043.041 문명의 기원

인류의 기원과 진화과정, 농경과 목축의 등장, 그리고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인더스, 황하, 중앙아메리카, 안데스 등 세계 각지의 고대 문명이 발생-성장-쇠퇴한 과정과 배경 등 인류 초기 역사의 주요 사건들을 구체적인 고고학 자료를 토대로 살펴봄으로써, 수강생들로 하여금 인류문화사의 큰 흐름을 이해하는 안목을 키울 수 있도록 한다.

L0547.000200 인류문화의 기원

본 과목은 초기 인류가 지구상에 등장하게 된 과정과 현생 인류로의 진화 과정, 그리고 본격적으로 인간 사회가 등장하고 문화가 형성되는 과정에 대해 다룬다. 인류의 생물학적 특성과 진화 과정의 메카니즘, 그리고 도구 사용, 언어 발달, 사회 형성, 예술과 상징의 등장 등 인간의 특성이라고 볼 수 있는 문화적, 사회적 요소가 형성되는 과정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또한 현생 인류의 생물학적 특성이 갖추어져 가는 과정에서 문화적, 사회적 요소가 어떻게 상호 작용을 하며 영향을 주고받았는지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이다. 또한 채집 경제에서 생산 경제로 전환되는 과정, 즉 농경과 목축의 기원에 대하여, 각 지역의 사례를 토대로 자세히 다룰 것이다. 이 주제들에 대한 다양한 고고학적 자료와 연구 결과를 소개함으로써 오늘날 우리 삶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인류 문화의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 데 본 과목의 목적이 있다.

043.044 한국미술사입문

우리나라의 회화, 조각, 공예, 건축 등이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어떠한 특징을 보이며 발전 또는 변천하여 왔는지를 폭넓게 소개함으로써 우리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증진시킨다. 구체적인 미술 작품에 대한 분석과 해석을 통하여 전통 미술의 특성 및 미의식에 대한 실질적 접근을 꾀한다.

043.045 동양미술사입문

중국을 비롯한 동양의 서화, 불교조각, 도자기, 각종 공예, 건축 등이 어떻게 변화·발전하였으며 어떠한 상호 연관을 맺고 있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동양 문화의 유구한 역사와 그 세계사적 공헌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바르게 이해하는 데에도 일조할 것이며, 국제 문화의 방향을 가늠하는 데에도 하나의 참고가 될 것으로 본다.

043.046 서양미술사입문

서양 미술의 변천 과정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 각 시대를 대표하는 작품들을 폭넓게 소개함으로써 인류문화의 발달을 조명해 본다. 이집트, 그리스와 로마의 고대미술, 비잔틴, 로마네스크, 고딕 등의 중세미술, 르네상스 미술, 17세기부터 현대에 이르는 미술의 제경향과 유파 등을 알기 쉽게 소개하여 현대문화의 근원을 찾아 보고 국제화 시대에 문화인으로서의 자질을 갖추게 한다.

042.015 동양의 미술과 문명

본 과목은 중국, 한국, 일본, 인도, 동남아시아 등 동양의 미술 전통에서 창출된 미술품들을 예술사와 역사적 맥락 속에서 살펴봄으로써 예술에 대한 안목을 높이고 인류의 예술문화유산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한된 시간에 광범위한 범위를 다루어야 하는 만큼 논의 대상을 예술적 가치가 뛰어나거나 역사적, 문화적 함의가 다면적이면서도 뚜렷한 작품들로 제한하여 그 작품의 조형 양상과 문화적 의미를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사상과 종교, 사회와 경제, 다른 예술 분야 등과의 관련 양상을 해명하는 데에도 비중을 두도록 한다.

116.204 고고학사

이 과목은 19세기 고고학 성립기에서 현대에 이르는 고고학의 성장과정을 개관함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사 고고학, 과정주의 고고학, 탈과정주의 고고학을 비롯한 주요한 학사적 조류의 등장 배경 및 특성, 주요 논점을 살펴봄으로써 현대고고학의 다양한 분야와 관점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또한 학사를 바라보는 여러 시각을 논의함으로써 수강생들은 비판적 관점과 사고를 계발하게 될 것이다.

116.206A 인골고고학

이 과목에서는 주요한 고고학 자료 가운데 하나인 인골을 연구하는 다양한 접근법에 대해 검토하게 될 것이다. 수강생은 강의와 실습을 통해 인골의 형질적인 특징을 통해 과거 인류 및 사회를 연구하는 방법론을 기본으로, 나아가 인골을 통해 과거 사회의 생계경제, 매장관습, 사회구조 등을 고찰할 수 있는 안정동위원소 분석, 고DNA 분석 등 각종 과학적 방법론을 접하게 될 것이다.

116.303 고고학실습

이 과목은 고고학 전공자가 숙지해야 하는 유물, 유구, 유적을 비롯한 각종 고고학 자료의 성격에 대한 기본지식과 발견·추론·분류·분석·연구에 이르는 제과정의 처리 능력을 배양함에 목적이 있다. 수강생은 지표조사, 발굴조사, 각종 자료 수습 및 처리의 기본원리와 방법에 대한 강의를 듣고, 실내외에서 자료의 복원, 분류, 실측, 측량, 사진 촬영 등을 실습함으로써 고고학 연구에 필수적인 기술을 연마하게 될 것이다.

116.313 인류문화와 환경

이 과목에서는 선사시대에서 역사시대에 이르기까지 인류문화의 발전과정이 인간과 환경 사이에 어떠한 관계를 맺으며 이루어진 것인가를 살펴봄으로써 문화진화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수업에서는 지형, 토양, 식생, 동물 등 고고학 연구에 활용되는 다양한 자료의 사례연구를 살펴보고, 과거의 환경과 생계경제양식 복원과 관계된 각종 방법론과 이론을 검토할 것이다.

M1264.000700 고고학과 자료분석

이 과목에서 학생들은 물질자료 분석에 이용되는 다양한 고고학 개념과 기법을 이해하고 실제자료에 적용하는 연습을 한다. 특히, 형식분류, 형태변이, 양식, 편년 등에 초점을 둔다. 이를 위해 첫째, 고고학의 성립 이래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 개념들이 시각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인식되어 왔는지, 이에 따라 어떤 분석기법이 등장하였는지를 학사적으로 고찰하고, 둘째, 실제 고고학 자료에 이 기법을 응용하는 연습을 한다.

116.422A 동아시아의 선사시대

이 과목은 선사시대부터 한반도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시베리아, 몽골, 중국, 연해주, 일본 열도 등 한반도 주변 동아시아 지역의 고고학적 성과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들 지역에서 선사시대 이래 다양한 문화가 전개된 과정과 그 특징 및 상호연관성을 논의하며, 한반도와의 관련성을 살피게 될 것이다.

116.430A 고고학방법론

이 과목은 수강생에게 고고학 연구의 주요 방법론의 내용과 그 학사적 의미를 이해시키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을 목적으로 한다. 과목에서는 형식분류와 층서법을 비롯한 기초적 연구방법에서 시작해 현대 고고학 연구의 각종 방법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내용을 검토하고 실제 자료에 적용하는 실습도 하게 될 것이다.

M1264.000100 생계경제고고학

이 과목에서는 선사 및 고대 사회의 생계경제 양식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고고학 이론과 방법론을 실제 고고학 사례와 함께 폭넓게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인류 사회의 발전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인 채집경제에서 생산경제로의 전환과정에 대한 주요 고고학 논저를 강독함으로써, 이 주제에 대해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M1264.000200 고고학과 사회복합화

이 과목에서는 과거 사회의 다양한 정치체의 형성과 발전과정의 체계적인 이해를 위해 필수적인 개념들을 소개하고 이와 관련한 고고학 연구 성과들에 대해 심도있게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권력의 발생과 성장, 사회계층화, 초기 국가의 등장 등과 관련한 다양한 고고학적·인류학적 개념들을 비판적으로 논의하고 이와 관련한 국내외 자료를 검토함으로써 새로운 대안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M1264.000800 한국고고학 1(구석기시대·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Ⅰ)

이 과목은 한반도 및 인근 지역의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 및 전기청동기시대 고고학 유적 및 유물을 통해 생활상, 생계경제, 기술, 사회상, 그리고 문화의 전개 및 변동과정 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반도에 처음으로 인류가 등장하는 배경과 플라이스토세 환경에 적응하며 구석기 문화가 전개된 과정, 신석기시대 토기의 등장 및 수렵채집경제의 지역별, 시대별 문화적 특성, 청동기시대에 농업경제로 전환되면서 생활상에 근본적인 변화를 맞는 과정 등을 집중적으로 고찰할 것이다.

M1264.000900 한국고고학 2(청동기시대Ⅱ·초기철기시대·원삼국시대)

이 과목은 한국청동기시대 중반 이후 청동기의 사용이 본격화되는 시점으로부터 초기철기시대와 원삼국시대까지의 한반도 및 인근지역의 고고학에 대해 다룬다. 특히, 금속기가 본격적으로 이용되면서 사회복합도가 심화되는 배경, 정치경제적 교류망이 동북아시아 일대로 확대되는 과정, 그리고 고조선 및 삼한 정치체 형성 등이 주요주제가 될 것이다.

M1264.000500 한국고고학 3(삼국시대)

이 과목은 한국에서 국가가 형성되는 시점으로부터 시작하여 삼국시대 전반에 걸친 고고학에 대해 살핀다. 고고학 자료를 이용하여 이 시기 문헌자료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이 논의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고구려, 백제, 신라의 형성 및 국가체제의 성립, 가야와 마한의 성장 및 쇠락, 각 국가 간의 경쟁 및 교류, 그리고 삼국통일의 고고학적 맥락이 주로 다루어진다. 또한, 이 시기 중국 및 일본과의 교류도 논의된다.

M1264.000600 한국고고학 4(통일신라·고려·조선시대)

이 과목은 고고학 자료를 토대로 통일신라,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사회 및 문화에 대해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급격히 축적된 중세 및 근대의 고고학 자료를 바탕으로, 한정된 문헌자료로는 파악할 수 없었던 당대 사회와 문화의 생활상 및 여러 면모를 이해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M2169.004600 지역고고학특강

현재 전 세계에서는 각 지역별로 체계적인 고고학 조사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 과목은 이러한 최신의 고고학 연구 성과를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과목에서 다루어질 지역은 유럽, 아프리카, 미국, 중남미 지역을 포괄하며, 시간적으로는 구석기 시대부터 국가 형성기를 포함하되, 실제 강의에서는 지역과 시기를 적절히 고려한 후 특정 주제를 정하여 강의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세계 각지의 고유한 선사 및 고대 문명에 대해 한층 심화된 지식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기의 관심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100.159 한국의 미술문화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우리나라 미술을 다루되 미술의 기원, 특징, 변천을 고분미술과 불교미술로 대별하여 살펴본다. 또한 미술의 제양상을 회화, 조각, 공예, 건축 등의 대표적인 작품들을 통하여 검토함으로써 우리나라 미술에 대한 참된 이해를 도모한다.

100.160 미술사와 시각문화

전통적인 미술과 미술가의 개념을 살펴보고 현대사회의 확대된 미술과 관련된 다양한 형태와 영역들을 포괄적이고 총체적인 시각문화라는 개념으로 학문적인 시각에서 조명한다. 새로운 매체를 통해 시도되고 있는 순수 미술가들의 미술창작과 그것을 둘러싼 활동 외에 영상, 상업미술, 시각문화 산업 등 광범한 범위를 다룬다.

116.215A 중국의 미술

이 수업은 중국미술의 다양한 시대적 양상과 흐름을 선사시대부터 20세기까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중국 미술의 조형적 특성, 변천과정, 문화 제 부문과의 관계 등을 이해하도록 한다. 이러한 이해는 동양 미술의 핵심적인 부분에 대한 이해로서 의의가 있을 뿐 아니라, 한국 미술 이해의 필수적인 기초라는 점에서도 의미를 찾을 수 있다.

116.217B 인도의 미술

인도문명권에서 발달한 미술의 역사를 살펴보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인더스문명과 인도미술의 기원, 불탑 숭배, 불상의 탄생과 불교조각의 흥성, 힌두교 미술의 융성과 힌두교 신전 건축, 이슬람시대의 세밀화, 이슬람시대의 건축, 서양 근대미술의 수용과 인도 미술의 변모 등 다양한 주제가 다루어진다. 미술의 양식적 발달사, 도상적 의미와 함께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인도 문명의 여러 국면들에 대해서도 탐색한다.

116.218 서양고대 및 중세미술

서양 미술의 뿌리를 이루는 고대 그리스 및 로마의 미술과 유럽 중세의 미술을 역사적 맥락에서 접근하여 이 시대의 미술 문화 현상을 근본적으로 이해한다.

116.219 르네상스와 바로크미술

르네상스 시대부터 바로크시대까지의 유럽의 회화, 조각, 건축 등의 대표적인 작품들을 통하여 당시의 미술과 문화를 검토한다.

116.317 박물관학입문

이 과목은 박물관-미술관의 개념과 역사적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실제로 박물관-미술관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여러가지 분야에 대하여 연구한다.

116.323 한국의 도자

한국의 도자는 한국 전통미술의 여러 부문 중에서도 국제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 분야이다. 한국의 도자는 기법상 중국의 전통을 받아 출발했으나, 동아시아 도자사에서 우수성과 독자성을 인정받는 훌륭한 작품들을 창출해 왔다. 이 수업은 한국 도자의 조형적, 기술적 특성, 사회문화적 의의, 산업적 양상들을 살펴본다. 동아시아 도자사의 넓은 맥락 속에서 한국 도자의 역사적 변천상을 조명할 것이다.

116.324 미술사실습

미술사 전문 인력으로서 현장에서 일하는 데에는 많은 실제적인 지식이 요구된다. 이 수업은 박물관이나 화랑 등 현장에서 미술 작품을 다루는 데 필요한 실제적인 지식들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학생들을 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작품 다루기, 실측, 기록, 정리, 촬영 등에 대한 기본적인 훈련이 이루어진다. 교육은 대학박물관이나 그 밖의 기관과 연계하여 일종의 인턴십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M1265.000400 유럽의 17, 18세기 미술

이 강의는 17, 18세기 유럽 미술의 흐름을 다룬다. 르네상스 미술 전통을 바탕에 둔 이 시기의 시각 예술은 사회 변화와 밀접한 관계 속에서 전개되었다. 가톨릭개혁, 절대왕정, 도시화, 부르주아 계급의 성장, 계몽주의 등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이 시기에 미술과 사회 사이의 상호작용이 나타나는 양상을 개별 작품 분석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근세 유럽의 시각 문화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높이는 것이 이 강의의 목적이다.

116.405A 한국의 회화

이 수업은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한국 회화의 역사적 전개를 살펴본다. 시대별 양상, 화파, 대표적 화가, 화풍, 화제, 도상, 사회문화적 맥락과 의미 등이 주요한 탐구대상이 된다. 한국 회화 주요 작품의 역사적 중요성을 이해함과 동시에 동아시아 회화사에서 한국 회화의 위치를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다.

116.406A 중국의 회화

이 수업은 선사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중국 회화의 전개를 살펴본다. 역사적 변천상과 더불어 주제, 정치적 의미, 사회적 기능, 문화적 의의, 상징성 등에도 관심을 둘 것이다. 강의는 중국 회화가 시대에 따라 어떻게 그 특징을 형성해 왔는지 설명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진다.

116.424A 한국의 불교미술

이 수업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의 불교미술의 흐름을 살펴본다. 한국 불교미술의 주종을 이루는 불교조각과 불교회화를 중심으로 살펴보되, 불탑과 불전 등의 건축, 사리기 등의 공예품에 대해서도 언급할 것이다. 시대별로 불교미술의 조형양식과 도상의 변화 과정을 알아보고 시대에 따른 특징을 당시의 역사, 불교, 문화 등과의 관계에서 살펴본다.

116.425A 불교미술: 개념과 지역적 전개

이 수업은 인도와 중국을 비롯한 동양 여러 나라에서 융성했던 불교 미술을 살펴본다. 수업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는데, 제1부에서는 불교미술의 개념과 불탑과 불상 등 주요 부문을 주제별로 정리하고, 제2부에서는 인도와 동남아시아, 제3부에서는 중국, 중앙아시아, 일본 등 각 지역에서 전개된 양상을 알아본다. 불교미술의 조형적, 종교적 특성, 그 형성에 영향을 미친 여러 요인들, 특히 불교사 및 문화사적 배경에 초점이 맞추어질 것이다.

116.427A 미술사연구이론

이 수업은 미술사 연구의 역사적 전개와 현대 미술사학의 이론적 시각 및 방법론적 접근을 살펴본다. 형식주의, 양식 분석, 도상과 도상학, 사회문화적 해석, 구조주의와 기호학, 후기구조주의, 정신분석 등 다양한 접근방법을 탐구한다. 이를 통해 미술사 연구에 있어 이론적 정위와 방법론적 인식의 중요성을 이해하게 한다. 이를 통해 실제적인 미술사 연구를 수행하게 될 학생들에게 이론적인 바탕을 길러주는 데 이 수업의 목적이 있다.

116.433 한국의 근현대미술

한국미술사는 19세기 말 서양미술의 기법이 본격적으로 전래되면서 근대로 접어들게 되었다. 이 이후 한국미술사의 전개는 기법과 목표, 의미, 제도 등에서 그 이전까지의 전통미술과는 사뭇 다른 모습을 보였다. 이 수업은 서양미술의 도입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근현대 미술의 추이를 살펴본다. 다양한 사조 및 경향을 국외의 미술 활동, 사회문화적 맥락과 관련지어 조명한다.

116.435 현대미술과 시각문화

20세기 유럽과 미국에 일어난 시각예술의 다양한 전개를 살펴본다. 시각적인 근대성(현대성)과 사회 및 문화상의 제반 변화, 그와 관련하여 일어난 시각예술 활동의 전개상을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20세기 말에 일어나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최근의 경향도 중요하게 다루어질 것이다. 현대미술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한국의 현대미술 이해의 기초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M1263.000100 일본의 회화

이 과목은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일본 회화의 역사적 전개를 다룬다. 시대별 화파, 주요화가, 화풍, 화제, 도상, 사회문화적 맥락과 의미 등이 주요한 탐구 대상이 된다. 일본 회화를 대표하는 작품의 역사적 의의를 이해함과 동시에 동아시아 회화사에서 일본 회화의 위치를 이해하는 데 이 수업의 목적이 있다.

M1265.000100 일본의 미술

이 수업은 일본 미술의 다양한 시대적 양상과 흐름을 선사시대부터 20세기까지 살펴본다. 이를 통해 일본 미술의 조형적 특성, 변천과정, 문화 제 부문과의 관계 등을 이해하도록 한다. 이러한 이해는 동아시아 문화권 내에서 인접한 한국의 미술과 일본의 미술간의 교류와 차이점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19세기 이래 일본 미술이 국제적으로 지닌 위상에 대해서도 조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M1265.000200 서양의 19세기 미술

이 수업은 현대 미술 상황과 바로 연결되어 있는 서양의 19세기 미술을 살펴본다. 이 시대는 진정한 의미에서 근대의 태동기라 할 수 있으며, 미술사에서도 이와 관련된 다양한 변화가 일어났다. 미술사에 있어 근대성과 그 형성 문제에 초점이 맞추어질 것이다. (1) 프랑스혁명의 정치적, 문화적 의미와 신고전주의의 대두, (2) 산업혁명과 근대 사회의 탄생, 인상파 및 후기인상파의 등장 등이 세부적으로 다루어질 중요한 과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