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149 | 세계종교 | |
100.150 | 불교개론 | |
100.151 | 기독교개론 | |
100.152 | 종교와 종교학 | |
114.203 | 중국종교 | |
114.204 | 인도종교 | |
114.213 | 유교개론 | |
114.214 | 이슬람교개론 | |
114.216 | 도교개론 | |
114.220 | 종교학의 전개 | |
114.301 | 종교현상학 | |
114.302 | 종교철학 | |
114.306 | 종교인류학 | |
114.307 | 종교사회학 | |
114.308 | 한국민속종교 | |
114.310 | 종교심리학 | |
114.311 | 신화학 | |
114.318 | 한국기독교 | |
114.319 | 한국유교 | |
114.320 | 비교종교학 | |
114.322 | 한국종교 | |
114.323 | 한국불교 | |
114.324 | 종교의례 | |
114.325 | 일본종교 | |
114.326 | 종교교육론 | |
114.327 | 종교 교재 연구 및 지도법 | |
114.328A | 종교교육 논리 및 논술 | |
114.402 | 신비주의 | |
114.407A | 경전과 고전 | |
114.412 | 고대종교 | |
114.413 | 원시종교 |
종교학적 통찰력을 가지고 오늘날 세상 문화를 읽어낼 수 있는 눈을 길러주려는 과목이다. 특히 현대 종교학에서 핵심적으로 강조되어온 신화 상징 및 텍스트 해석법, 진화-전파론적 관점, 구조-기능론적 시각, 본질-현상학적 관점, 다원적 통문화적 비교 시각 등을 바탕에 깔고, 이들이 오늘날 인문학적 연구대상의 주류로 등장한 다양한 문화들(특히 의례 및 놀이문화, 생산 및 소비문화, 페미니스트문화, 생명 및 환경문화, 사이버 영상문화, 한국 전통 및 현대문화)을 어떻게 새롭게 이해하게 하는지 공부한다. 또 이들이 참신한 상상력과 이미지의 원형(archtype)을 어떻게 제시하는지 체계적으로 검토한다. 더불어 종교들간의 대화문화를 통해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세계 종교지형 변화와 새로운 컬트형식 영성 문화들이 출현하여 비롯되는 인간의 종교적 이미지 변화의 기본 얼개를 창조적으로 재해석한다.
종교학을 인간학의 견지에서 다루게 될 본 강의는 영상문화라는 프리즘을 통해 다양한 종교적 문제들을 탐구한다. 영상매체, 특히 주로 영화에서 시간, 공간, 고통, 죽음, 신화, 제의 등 갖가지 종교적 모티브를 통하여 인간의 문제가 다루어지는 양상을 파헤치는 이 강의는 종교가 인간을 이해하는 열쇠임을 드러내게 될 것이다.
종교와 예술이 어떻게 서로 만나면서 관계를 만들어왔는지를 살펴보면서, 인간의 문화 활동의 산물인 예술을 종교적인 맥락에서 접근할 수 있는 안목을 모색해내고, 또한 그 반대인 종교문화에서 예술이 차지하는 모습은 어떠한 지를 개괄적으로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현대사회는 다양성의 문화가 지배하는 사회이다. 이러한 사회 속에서 기독교는 다른 종교들과 함께 매우 다양하게 변화해 왔다. 특히 한국의 사회문화 속에서 기독교는 외래종교이며 2세기라는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종교문화의 주류로서 자리잡아 왔다. 본 강좌는 세계와 한국의 현대문화 속에서 기독교의 존재방식을 살펴봄으로써 기독교를 포함한 종교일반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나아가 현대문화 자체에 대한 성찰을 심화시켜 줄 수 있을 것이다.
지식(Knowledge)이 체계화된 정보라면, 지혜(Wisdom)는 삶을 통일하는 힘(integral power of life)이다. 지혜는 고전문화권에 따라 그 전통을 형성했고, 고전문화권이 곧 세계문화권을 형성했다. 그러므로 동서양의 지혜의 전통을 이해하는 것은 곧 세계문화권을 형성하는 세계관의 맥락과 내용을 들여다보는 것과 같다. 따라서 세계문화사를 형성하는 세계관의 맥락과 내용을 조망함으로써 현대인의 삶의 내용을 통찰하는 힘을 얻을 수 있다.
이 과목의 첫 부분은 성서를 포함한 관련된 자료를 소개하고 예수를 중심으로 한 중심 주제들을 다룰 것이다. 그리고 나서, 기독교 역사를 기독교 태동부터 지금까지 등장하는 기독교의 간결하지만 종합적인 논의들을 소개하고, 강의 후반부에는 현대 다원적인 상황에서 기독교인의 역할을 토론하고자 한다.
종교는 인간문화의 한 층을 이루고 있으며, 따라서 종교를 이해하는 것은 인간 문화와 더불어 인간 자체를 이해하는 하나의 길이 될 것이다. 본 강의는 종교를 낳고 지탱하고 변화시켜 온 인간 문화의 구조와 역동성에 관하여 다룬다. 이를 통하여 우리는 인간의 문화창조과정과, 그 문화 속에서의 종교의 구조와 역할, 그리고 종교와 타 문화 영역과의 연관성, 오늘날의 삶에서의 변용과정 등을 이해해 갈 것이다.
통상 신화와 역사는 상반되는 개념이다. 즉 신화는 역사이전의 허구적인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본 강의는 이와 같은 상식적인 선입견을 배제하고, 기본적으로 신화와 역사를 동일한 지평위에 올려 놓고 진행될 것이다. 따라서 신화만이 실재한다든가 또는 역사만이 실재한다는 식의 이해보다는 양자가 인간의 삶에서 어떻게 의미있는 영역으로 존재하는가를 주목한다. 더 나아가 신화와 이데올로기의 문제에까지 관심을 확장하여 궁극적으로는 신화해석에 있어서의 새로운 가능성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이다.
이 과목은 종교학도 뿐만 아니라 세계종교에 관심있는 일반 학생들을 위한 교양강좌로서 세계종교의 종류와 각 종교의 역사, 신념유형, 신앙의 실천 등의 문제를 개괄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갈수록 복잡해져가고, 지역간의 시간적 공간적 거리가 축소되어가는 현대문화 속에서 과거의 그리고 다른 지역의 문화적 근간이 되는 종교들을 이해할 수 있는 길을 제공해 주고, 이를 바탕으로 타문화는 물론 우리 자신의 문화를 이해하는 데 좋은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종교학의 이해>는 비전공학생들에게 종교학이라는 학문 분야에 대한 기본 지식을 갖출 기회를 제공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인간의 가장 복잡하고도 심오한 사상과 행위를 수반하는 종교를 객관적으로 이해하는 시각을 갖추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강좌를 통해 학생들은 종교에 접근하는 다양한 학문적 관점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신화, 의례, 종교 경험, 시간과 공간 등 종교의 주요 요소들에 대한 종교학의 설명 방식들을 학습하게 될 것이다. 나아가, 비교종교학, 종교사회학, 종교심리학, 종교인류학 등 주요 종교학 방법론들을 공부하여, 인간과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과 깊이를 확장해온 종교학 전반에 대한 지식을 갖추도록 한다. 또한 종교 간 갈등과 같이 현대 사회에서 발생하는 종교적 문제들을 살펴보고, 그 해결에 종교학적 시각이 기여할 수 있는 바를 검토한다.
종교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측면 중의 하나로 ‘실천’의 차원을 빼놓을 수 없다. 종교는 인간의 총체적인 삶의 방식을 제시하고 있는 만큼, 종교 공동체 성원의 몸과 마음의 존재 양태를 방향지우고 결정짓는다. 달리 말하면 종교 공동체의 성원은 종교 고유의 교리뿐 아니라 실천의 전통을 공유함으로써 특정 종교 전통의 정체성을 유지하기도 하고, 또 새로운 실천의 방법을 창조함으로써 종교 전통의 새로운 분파와 전개 국면을 만들어가기도 한다. 본 수업은 이러한 종교적 실천 전통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다양한 종교 전통의 명상과 수행의 여러 양상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각 종교 전통이 지향하는 궁극적 실재의 이해 혹은 일치에 도달하기 위한 정신적・신체적 수행 양상은 어떠한 것인지, 또한 그 공통점과 차이점은 어떠한 것인지 살펴봄으로써, 다양한 종교 전통의 명상과 수행법에 대한 객관적인 시선과 함께 종교적 다양성에 대한 성숙한 이해와 대화의 태도를 함양하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인류의 기독교 경험이 표출해온 신앙적, 실천적, 공동체적 특성들과 경전적 전통 등을 개관한다.
종교의 본질을 학문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시각을 다양한 방법들을 통해서 체계적으로 개관한다.
본 강의는 인류문화의 한 유산인 인도의 종교사상을 역사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인도종교의 기원, 베다시대의 종교, 우파니샤드의 종교, 불교 및 기타종교의 출현, 자이나교, 힌두교의 출현, 바가바드기타의 등장, 육파철학, 힌두교의 종파, 이슬람의 영향과 시크교, 새로운 종교사상의 출현, 현대 인도의 종교적 상황 등을 본 강의의 주제로 삼는다. 이를 통하여 학생들은 세계관에 대한 새로운 안목을 지닐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불교의 근원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도 성취할 수 있을 것이다.
유교의 기본사상 및 역사적 전개에 관한 개괄적 이해를 통하여 유교의 전체적 규모와 성격의 인식을 도모한다. 유교사상의 원천을 이루는 경전의 구성체계와 사상적 특성을 이해함으로서 유교이해의 기초를 마련한다. 나아가 유교의 사상적 기본문제를 이루는 天論·심성론·천인론·學人修養論·경학론·귀신론·의례론·敎化論 등의 문제를 종교적 관심에서 인식한다. 유교사상의 중국고대적 발생에서부터 공자에서 맹자에 의한 체계화와 한 대의 훈고학과 宋元시대의 理學과 청대의 고증학·氣學 및 현대의 변혁양상에 이르기까지 유교사의 맥락을 이해하는 것도 포함한다.
도교의 발생과 시대적 변천양상을 이해하며, 도교사상의 기본영역에 따른 문제의 성격을 개괄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후한말엽에서 도교의 발생과정을 이해하는데는 그 사회적 및 사상적 배경을 해명한다. 특히 민간신앙과 도교의 연관성 내지 도가사상과 도교의 상관과계를 확인한다. 당대이후 중국 및 한국에서 도교의 시대적 전개양상을 파악하며, 여기서 국가의 제도적 도교와 민간의 도교를 구분하는데 유의한다. 또한 도교의 경전체계를 개관하며, 도교적 天論·양생법·단학·의례 등에 관한 체계적 이해를 추구한다.
종교철학의 기초적인 문제를 중심으로 하는 개론적인 과목이다. 서구형의 종교철학을 중심으로 한다. 종교철학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신의 존재증명, 악의 문제에 대한 신정론, 종교다원주의의 철학적인 문제를 검토한다.
본 강의는 종교심리학의 일반적인 개괄을 이론적인 측면에서 살피는데 목적을 둔다. 특히 종교심리 또는 종교경험을 주로 연구한 사상가들의 이론들을 주제별로 접근한다. 그리고 종교심리학 이론들이 종교학 이론을 발전시켜 나가는 데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고찰한다. 구체적인 학습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심리학의 태동에 관한 역사적이고 지역적인 연구, 둘째 생물학적인 관점에서 접근한 종교심리 이론, 셋째 행동주의적인 관점에서 접근한 종교심리 이론, 넷째 실험심리학적인 관점에서 접근한 종교심리 이론, 다섯째 프로이드의 종교이론, 여섯째 포스트 프로이드 학자들의 종교심리이론, 일곱째 융의 종교이론, 여덟째 제임스의 종교경험이론, 아홉째 현상학적이고 해석학적인 종교심리이론, 열째 인간주의적인 종교심리이론, 열한번째 실존주의적인 종교심리이론.
인식범주로서의 신화가 삶의 의미의 차원에서 상호 연게됨을 여러문화권의 자료를 통해 살펴보고, 각 신화의 내용들과 비평들을 각자 발표하면서 인간문화에 대한 새로운 안목을 갖는다.
한국종교사의 전체 흐름을 통일된 안목으로 파악하고, 그 개별 전통의 문제들과 각 세대의 특수 종교현상들을 한국종교사의 전체적 흐름의 맥락에 근거하여 보다 균형있는 이해를 위한 훈련을 하는데 이 강의의 목적이 있다. 이는 곧 한국정신의 전체적 흐름에 대한 균형있는 이해를 추구하는 것이기도 하다. 구체적인 학습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국종교사의 개관, 상고의 종교사상, 삼국시대의 종교, 고려시대의 종교, 조선시대의 종교, 기독교의 전파와 확장, 일제하 종교문화의 파괴, 현대 한국의 종교상황.
한국종교사의 전체 흐름을 통일된 안목으로 파악하고, 그 개별 전통의 문제들과 각 세대의 특수 종교현상들을 한국종교사의 전체적 흐름의 맥락에 근거하여 보다 균형있는 이해를 위한 훈련을 하는데 이 강의의 목적이 있다. 이는 곧 한국정신의 전체적 흐름에 대한 균형있는 이해를 추구하는 것이기도 하다. 구체적인 학습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국종교사의 개관, 상고의 종교사상, 삼국시대의 종교, 고려시대의 종교, 조선시대의 종교, 기독교의 전파와 확장, 일제하 종교문화의 파괴, 현대 한국의 종교상황.
본 강좌는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아메리카, 남태평양 지역에서 확인되는 종교문화의 원초적 형태뿐만 아니라 토착의 종교문화와 외래 현대문화의 만남을 통해 새롭게 분출된 다양한 종교문화운동의 실상과 특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강좌에서는 애니미즘, 마나이즘, 주술, 샤머니즘, 위치크라프트, 조상숭배, 토테미즘, 희생의례 등의 원시종교론의 주제뿐만 아니라 현대적으로 변용된 천년왕국운동, 고스트 댄스, 카고 컬트, 네오샤머니즘 등의 종교문화를 동시에 이해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