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7.201B | 가계경제론 |
357.204 | 소비자행태론 |
357.217 | 소비자정책론 |
357.225 | 소비자심리의 이해 |
357.304A | 소비자시간자원분석론 |
357.402 | 소비자정보론 |
357.429 | 소비자문제분석세미나 |
M1471.000100 | ICT시장과 소비자 |
M1471.001200 | 소비자교육론 |
M1471.000300 | 금융시장과 소비자 |
M1471.000500 | 소비자와 신상품기획 |
M1471.000700 | 소비자정량분석론 |
M1471.000800 | 소비자상담과 분쟁조정 |
사회의 기본 경제 단위인 가계의 행동을 경제학적 접근을 통하여 이해하기 위하여, 소득의 획득, 소비, 저축 및 투자와 같이 화폐와 관련된 가계의 행동을 분석적인 시각으로 접근하며, 결혼, 출산, 시간배분 등과 같은 가계의 비금전적 행동을 분석한다. 또한 행동경제학적 측면에서의 가계 분석을 학습하며, 가계경제학의 궁극적 목표라 할 수 있는 가계의 경제적 복지 문제를 고찰한다.
정보부족 등 시장실패에 의해 발생하는 소비자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비자정책이라는 도구를 가지고 정부는 시장에 개입하게 됩니다. 본 강의에서는 소비자정책의 기초 이론과 더불어 우리나라와 외국의 소비자권익보호 제도를 다룹니다. 본 강의의 목표는 기존의 소비자정책에 대한 기본 지식을 갖추고, 소비자권익증진을 위해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정책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인적자본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This course will explore the decision-making of consumers using the tools of behavior economics and consumer psychology. The course will cover topics such as the traditional theories of consumer decision-making, modifications to the traditional theory, and new theories of consumer decision-making.
시간은 철학, 물리학, 심리학, 경제학, 사회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었으며, 소비자학에서는 시간을 중요한 자원의 하나로 보고 시대에 따라 초점을 달리 하면서 연구, 교육해 왔다. 특히 종래의 물질에 두어졌던 가치가 정보, 시간 쪽으로 변화하면서 시간자원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부각되고 있다. 화폐가 ‘소유’를 표현하고 시간이 ‘존재’를 나타낸다고 볼 때, 시간자원에 대한 분석은 결국 ‘어떻게 살 것인가’ 라는 문제로 귀결될 수 있다.
이에 본 수업에서는 ‘시간이란 무엇인가’ ‘시간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시간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사람들의 시간 사용 실태는 어떠한가’ ‘나는 시간을 어떻게 사용하는가’ 를 다룸으로써 어떻게 살아가야할 것인가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얻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This course is intended to introduce students to issues and problems faced by consumers in contemporary markets. In particular, the course will examine the reasons why consumers may have problems in the market and what can be done to aid consumers.
소비자교육영역은 소비자학의 학문적 지향임과 동시에 학문의 근간을 형성하는 철학적 관점이다. 이는 일반적인 교육적 담론에서 벗어나 현대 소비자의 생활실천원리로서 소비의 주제적 특수성을 고려하여야 하며, 소비자 개인의 전생애주기적 관점에서 소비자교육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모색하는 과정이다.
본 강좌에서는 소비자교육에 대한 학문적 시각을 성숙하게 구성하고자, 소비자교육의 국제적 이슈와 주요한 소비자교육의 대상 및 영역들을 발굴하고 교육의 실제 프로그램을 기획함으로써 소비자교육에 대한 이해와 적용을 심화한다.
본 교과에서는 변화하는 소비니즈를 추적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창의적인 신상품기획 방법론을 학습한다. 본 교과는 총 두 개의 학습목표를 갖는다. 첫째, 소비자들의 unmet needs를 발굴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론을 학습한다. 둘째, 발견된 unmet needs를 해결하기 위한 창의적 아이데이션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제품 아이디어를 기획한다. 이러한 과정을 학습함으로써, 시장에 존재하는 소비자의 요구수준과 혁신기술 사이에서 최적화된 신제품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강의는 소비자학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방법론 강의 중 하나로, ‘소비자분석의 기초’ 강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진행됩니다. 본 강의에서는 사회과학에서 쓰이는 다양한 연구방법 중에서 사회조사에 의해 얻어진 수량적 자료를 분석하는 데 필요한 기본지식을 학습하고, 이를 활용해 전공분야의 연구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