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2169.000200 | 영어영문학주제연구 1 | |
| M2169.000300 | 영어영문학주제연구 2 |
| 103.502 | 영미문학연구론 | |
| 103.615 | 르네상스 영시 | |
| 103.617A | 19세기영국시 | |
| 103.618 | 현대영미시 | |
| 103.621A | 현대영국소설 | |
| 103.622 | 현대미국소설 | |
| 103.625A | 현대영미희곡 | |
| 103.626A | 셰익스피어 | |
| 103.627B | 문학비평이론1 | |
| 103.630A | 미국시 | |
| 103.631A | 중세영문학 | |
| 103.657A | 18세기영국소설 | |
| 103.658A | 19세기영국소설 | |
| 103.659A | 19세기미국소설 | |
| 103.673 | 영미문학특강1 | |
| 103.674 | 영미문학특강2 | |
| 103.675 | 영미문학특강3 | |
| 103.676 | 르네상스영문학 | |
| 103.677 | 18세기영국문학 | |
| 103.678 | 19세기영국문학 | |
| 103.679 | 20세기영국문학 | |
| 103.680 | 19세기미국문학 | |
| 103.681 | 20세기미국문학 | |
| 103.682 | 최근영미소설 | |
| 103.685 | 영미문학특강4 | |
| 103.686 | 문학비평이론2 |
The Handbook of Contemporary Semantic Theory
/
English Verb Classes and Alternations
/
In this rich reference work, Beth Levin classifies over 3,000 English verbs according to shared meaning and behavior. Levin starts with the hypothesis that a verb's meaning influences its syntactic behavior and develops it into a powerful tool for studying the English verb lexicon. She shows how identifying verbs with similar syntactic behavior provides an effective means of distinguishing semantically coherent verb classes, and isolates these classes by examining verb behavior with respect to a wide range of syntactic alternations that reflect verb meaning. The first part of the book sets out alternate ways in which verbs can express their arguments. The second presents classes of verbs that share a kernel of meaning and explores in detail the behavior of each class, drawing on the alternations in the first part. Levin's discussion of each class and alternation includes lists of relevant verbs, illustrative examples, comments on noteworthy properties, and bibliographic references. The result is an original, systematic picture of the organization of the verb inventory. Easy to use, English Verb Classes and Alternations sets the stage for further explorations of the interface between lexical semantics and syntax. It will prove indispensable for theoretical and computational linguists, psycholinguists, cognitive scientists, lexicographers, and teachers of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Events in the Semantics of English: A Study in Subatomic Semantics
/
This extended investigation of the semantics of event (and state) sentences in their various forms is a major contribution to the semantics of natural language, simultaneously encompassing important issues in linguistics, philosophy, and logic. It develops the view that the logical forms of simple English sentences typically contain quantification over events or states and shows how this view can account for a wide variety of semantic phenomena.Focusing on the structure of meaning in English sentences at a "subatomic" level - that is, a level below the one most theories accept as basic or "atomic" - Parsons asserts that the semantics of simple English sentences require logical forms somewhat more complex than is normally assumed in natural language semantics. His articulation of underlying event theory explains a wide variety of apparently divers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natural language, and his development of the theory shows the importance of seeing the distinction between events and states.Parsons demonstrates that verbs, also, indicate kinds of actions rather than specific, individual actions. Verb phrases, too, he argues, depend on modifiers to make their function and meaning in a sentence specific. An appendix gives many of the details needed to formalize the theory discussed in the body of the text and provides a series of templates that permit the generation of atomic formulas of English.Terence Parsons is Professor of Philosophy and Dean of Human
이 강의는 영어 의미론을 처음으로 접하는 대학원생들에게 영어 의미론의 다양한 주제와 이론을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선 영어의 다양한 의미 현상들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여러가지 설명 방식들(형식적, 인지적, 화용론적, 담화분석적 접근 방식 등)을 점검해 본다.
Ibsen 이후 absurd drama에 이르는 현대연극의 흐름 속에서 영국과 아일랜드의 현대희곡과 미국 현대희곡의 위상을 구체적인 작품을 읽음으로써 정립해본다.
앵글로색슨 시대부터 15세기말까지의 영국문학 작품들을 선별적으로 개괄한다. 텍스트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문학전통과 사회문화적 맥락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며 Chaucer의 작품들과 Middle English에 대한 훈련을 반드시 포함한다.
본 강의에서는 우선 외국어(영어) 습득 및 학습에 관련된 여러 가지 변인들을 살펴본 후 그러한 요소들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영어교육 관련 연구 및 교수법을 고찰한다.
영미문학 연구의 주요 주제나 쟁점을 선정해 집중 검토하는 고급세미나. 20세기 이전 영미문학에 치중하며, 주제와 쟁점은 학기마다 달라질 수 있다.
왕정복고기부터 18세기말까지의 영국문학을 심도 있게 개괄하는 프로세미나. 전 문학 장르를 망라하는 강의 중심의 시대론 과목으로 기말페이퍼와 함께 종합시험을 부과한다.
영미문학 연구의 주요 주제나 쟁점을 선정해 집중 검토하는 고급세미나. 시대의 구분없이 영미문학의 전반적인 분야에 해당하며, 주제와 쟁점은 학기마다 달라질 수 있다.
영어교육 및 응용영어학에 대한 기초과목을 이수한 학생들에게 관련 분야의 최근 논문들을 통해 이론 및 최근 연구 경향들을 소개하고 이를 응용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둔다. 구체적인 강의 내용은 매 학기 담당교수가 강의계획서를 통해 공지한다.